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

전세금반환보증보험 SGI(서울보증), HF(한국주택금융공사), HUG(주택도시보증공사) 비교 전세계약을 하면 전세금을 임대인에게 맡기고 계약기간 동안 해당물건에 거주합니다. 임대인에게 발생하는 사정으로 전세금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전세금반환보증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좋은데요, 요즘은 깡통전세가 많아져서 계약할 때 중개소에서 적극 권유하는 편입니다. 전세금반환보증보험 가입 기관 전세금반환보증보험은 전세 계약이 만료되었지만 1개월이 지나도 아무 이유 없이 전세금을 임대인에게 받지 못할 경우, 보증보험에서 전세금을 반환해 주는 것을 보장하는 상품입니다. 이름만 약간 다를 뿐, SGI 서울보증의 전세금보장신용보험, HF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전세지킴보증, HUG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보증금반환보험이 있습니다. 신청시기 SGI 서울보증의 전세금보장신용보험 HF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일반)전세지킴보증 HUG 주택도.. 2023. 8. 22.
HF (일반)전세지킴보증 (특례)전세지킴보증 소개 #한국주택금융공사 요즘 깡통전세가 늘어나면서 전세임대차계약을 할 때, 걱정과 두려움이 커졌습니다. 전세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가급적 전세금보증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HF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보증하는 전세지킴보증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는? 2004년 3월 1일에 한국주택금융공사법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주택저당채권등의 유동화와 주택금융 신용보증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보금자리론 등 서민의 주택금융 파트너를 지향합니다. (일반) 전세지킴보증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의 하나로 임대차계약이 종료되었음에도 임대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임차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 공사가 임대인을 대신하여 임차인에게 임차보증금을 지급하는 상품입니다. (일반) 전세지킴보증 보증대상자 1. (한국주택금.. 2023. 8. 20.
전세보증금반환보증 HUG(주택도시보증공사) 전세계약이 종료되었지만 임대인이 1개월 동안 정당한 사유 없이 전세보증금을 반환하지 못할 때, 전세계약 기간 중 전세목적물이 경매 · 공매가 실시되어, 배당 후 임차인이 전세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하였을 때를 대비하여 미리 전세보증금반환보증을 신청하세요. 보증내용 전세계약 종료 후 임대인이 임차인의 전세보증금을 반환해 주지 못할 시, 보증금 반환을 책임집니다. 보증대상 전세보증금 수도권 7억원 이하, 그 외 지역 5억 원 이하 신청기한 신규 전세계약의 경우, 전세계약서 상 잔금지급일과 전입신고일 중 늦은 날로부터 전세계약기간의 1/2 경과 전까지입니다. 갱신전세계약의 경우, 갱신 전세계약서상 전세계약기간의 1/2 경과 전까지입니다. 보증채권자(보증신청인) 전세계약서 상의 임차인입니다. 개인, 법인, 외국인도.. 2023. 8. 16.
아파트 실거래가 정보에 '등기' 표시 국토부에서는 전세사기와 빌라왕 등의 사건, 집값 띄우기를 목적으로 하는 허위거래 신고등의 피해를 막아보고자 2023년 7월 25일부터 아파트 실거래가 정보에 등기가 됐는지 정보를 공개합니다. 올해 아파트 등기 자료를 공개하고 내년부터 다른 주택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국토교통부 조치 배경 집값을 올릴 목적으로 아파트를 최고가에 허위 거래한 뒤, 후속 거래가 뒤따르면 기존 거래를 취소하면 호가는 올라갔고 아파트 집값에 거품이 끼게 됩니다. 이를 막고자 국토부는 아파트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을 통해, 매매가 완료된 사실이 찍힌 등기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실거래가 등록은 거래 계약일 이후 30일 이내에 신고하는 게 원칙이지만 등기는 잔금을 치른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실.. 2023. 7. 27.
주택연금 가입 대상자 확대될까? 주택연금 가입 대상이 확대될까요? 정부는 주택연금 가입 상한 주택가격 조건을 9억에서 12억으로 완화하는 것으로 막판고심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국회는 21일 본회의에서 현행 공시가 9억 원에서 '시행령'에 위임하는 주택금융공사법 개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주택금융공사법 주택연금 가입 대상자 본인 또는 배우자의 나이가 55세 이상인 주택소유자는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최고 가입 가능 나이 제한은 없습니다. 주택연금 담보주택의 조건 주택연금을 신청할 수 있는 가입대상주택은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시 또는 고시되는 가격이 9억 이하인 다음의 주택을 말합니다. 일반주택(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구분) 노인복지주택(노인복지법 제32조제1항제3호) 실지거래가액 합계액이 9억을 초과하는, 고가주.. 2023. 6. 26.
전세사기 예방수칙 최근 문제가 된 전세사기로 임차인의 피해가 걷잡을 수없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피해자 구제를 위한 특별법을 만들어 대책을 마련했지만 전세사기를 당하기 않게 미리 주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세계약이전 예방수칙 등기부등본 확인하기 등기부등본에 선순위채권, 저당권, 근저당권, 가압류, 담보가등기, 경매개시일정등기, 전세권, 신탁등기란 단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등기부등본은 해당부동산의 기본정보와 권리를 보여주는 서류로 부동산이 생기는 시점부터 현재까지 권리의 이전과 변경을 한눈이 볼 수 있습니다. 가까운 등기소나 인터넷등기소에서 열람하거나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선순위채권: 등기부등본 갑구와 을구에서 저당권, 근저당권, 가압류, 담보가등기, 경매개시일정등기, 전세권이란 단어가 있다면 주의해야 합니다.. 2023. 5. 14.
야, 주거복지특위 개편안 발의, 부동산규제지역 '관리지역'으로 단순화 더불어민주당이 부동산 규제지역을 부동산 '관리지역'으로 통합하는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1단계는 신규 주택시장의 과열을 진정시키고 2단계는 1단계 규제에 세제 관련규제와 재건축 정비사업 관련 규제를 더하여 1, 2단계로 단순화하는 개정안을 발의했습니다. https://www.mk.co.kr/news/realestate/10713873 부동산 규제지역 제도 지난 정부에서 부동산 가격 급등에 따라 수차례 개정되었던 부동산 규제지역 제도는 규제지역별로 규제가 중복되고 복잡하게 구성돼 있어서 국민뿐만 아니라 전문가들도 이해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현재 조정대상지역, 투기 과열지구, 투기지구로 구분하여 규제가 제각각이고 아파트 청약, 중도금 대출, 양도소득세 등 정책이 바뀌면서 조정대상지역이 투기과열지구.. 2023. 4. 18.
아파트 입주율이 6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3월 수도권아파트 입주율이 73.6%로 2017년 4월 이후 약 6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매일경제에서 보도하였습니다.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분양을 받아 입주시기가 됐지만 살던 집이 팔리지 않아서 들어갈 수 없는 집들이 늘었습니다. 매수자들이 급매가 소진된 후, 그보다 높은 가격으로 사려고 하지 않고 매도자들의 호가는 내려오지 않은 현 부동산 모습을 보여주는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매도자와 매수자의 줄다리기가 계속 이어진다면 팔려야할 시기, 사야할 시기를 놓쳐 제자리에 머무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입니다. 아파트 입주율이란? 입주를 시작한 달에 전체 입주 가구에서 실제 입주를 마치거나 잔금을 납부한 주택의 비중입니다. 예를들어 아파트 입주율이 70%라면 10가구 중 3집은 불 꺼.. 2023. 4. 14.
낙찰가율 vs 낙찰률, 낙찰률이 하락이라는데... 3월 경매시장에 들어온 신규 아파트 매물들이 약 1,200여 건으로 늘었습니다. 이에 전국 낙찰률은 29.2%로 하락(33.1→29.2%)하고 전국 낙찰가율은 75.1%(74.6→75.1%)가 되었습니다. (법원경매 정보업체 지지옥션 참고) 낙찰률 하락 집값하락과 고금리의 여파로 대출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영끌족(영혼까지 끌어서 대출을 많이 받아 집을 산 사람들)의 매물이 경매에 유입되고 있습니다. 3월 경매시장에는 아파트 매물들이 늘었는데 이에 전국 낙찰률은 29.2%로 하락(33.1→29.2%)하고 전국 낙찰가율은 75.1%(74.6→75.1%)가 되었습니다. (법원경매 정보업체 지지옥션 참고) 낙찰가율 부동산 경기지표로 경매에 나오는 물건이 낙찰되는 비율을 보는데 낙찰가율과 낙찰률을 들 수 있습니다.. 2023. 4. 11.
아파트값 하락폭 다시 커지다 feat 매경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에 대비해 0.2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작년 5월 둘째주 이후 연속 48주 하락한 데다 아파트값 하락폭이 다시 커지고 있습니다. 아파트값 낙폭 아파트값이 하락세이고 낙폭이 -0.26, -0.22, -0.19로 줄다가 이번주 -0.22로 커졌습니다. 시장에서 급매가 소진되고 호가매물이 남은 상태에서 금리부담으로 추격매수를 하는 매수자가 없기 때문에 낙폭이 다시 늘어난 것으로 생각됩니다. 아파트 가격 하락 아파트 가격은 작년 5월 둘째주 이후 연속 48주 하락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부 매수자들이 가격이 큰 폭으로 내린 급매물을 거래해 거래량이 늘면서 낙폭이 감소했지만 급매물이 소진되자 호가를 내리지 않은 매물들이 쌓이.. 2023. 4. 7.